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한국인의밥상168

한국인의밥상 172회 :: 야생의 진수성찬!, ‘지리산’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하늘이 허락한 선물들이 밥상에 오르면 이 봄 지리산이 더 맛있어집니다. 지리산이 제일 빛나는 시간이 찾아왔습니다. *지리산 단풍취는 5월 말쯤 나기 시작합니다. 비비추, 병풍취는 해발 700m는 올라야 나옵니다. 해발 1200m 정도 되야 석이버섯이 나옵니다. 석이버섯은 10년은 되야 1cm가 큰다고 합니다. ‘산나물주먹밥’은 지리산 산꾼들의 점심식사입니다. 주먹밥을 채취한 산나물에 싸서 쌈장을 올려 먹습니다.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산나물볶음’은 산에서 딴 나물을 씻지 않고 항아리에 넣고 소금으로 염장을 해서 큰 돌로 눌러 넣어 놓습니다. 그리고 먹을 때 꺼내서 씻어 끓는 물에 데쳐서 하루밤 찬물에 담가두면 염분이 빠집니다.. 2024. 3. 8.
한국인의밥상 171회 :: 국수 왔수다, ‘제주도 누들로드’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진정한 국수의 땅은 따로 있습니다. 거친 파도와 바람의 땅 제주도 입니다. 국수거리가 따로 있고 1인당 국수 소비량도 전국 최고랍니다. *제주시 조천읍 와흘리 밭이 대부분인 제주도는 잡곡 농사를 많이 짓습니다. 보리, 조, 메밀 등이랑 고구마를 키웁니다. ‘메밀쌀’은 메밀을 맷돌을 갈아서 체에 내려 껍질을 걸려 냅니다. ‘메밀고구마범벅’은 끓는 물에 고구마를 잘라 넣고 메밀가루를 넣은 뒤에 잘 저으면서 되직해질 때까지 끓입니다. ‘메밀조베기’는 끓는 물에 메밀을 질게 반죽해서 수제비처럼 뚝뚝 넣어서 끓이다가 미역을 넣고 끓입니다. ‘메밀 꿩 칼국수’는 메밀가루를 익반죽을 해서 얇게 펴서 칼로 썰어 면을 만듭니다(점성이 없는 메밀.. 2024. 3. 5.
한국인의 밥상 170회 :: 산나물의 황제, ‘두릅을 만나다’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맛과 향, 영양까지 산나물의 황제인 두릅입니다. 1년에 딱 보름 제대로 먹는다는 두릅입니다. *경기도 양평군, ‘용문산’ 두릅은 따면 점액질이 나옵니다. ‘두릅데침’은 채취해서 끓는 물에 밑둥부터 넣고 익히다가 다 넣고 물컹하게만 데친 뒤에 물기를짜주고 살짝 따뜻할 때 먹으면 좋다고 합니다. 초고추장에 곁들여 먹습니다.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 개두릅은 엄나무 순입니다. 향이 두릅(참두릅)보다 진합니다. 더덕, 산나물 등을 산에서 캐와서 다시 밭에 심어서 키우기도 합니다. ‘두릅된장장아찌’는 항아리에 두릅을 차곡차곡 넣고 그 위에 된장을 바르고 개두릅넣고 된장바르고를 반복합니다. 꺼내서 참기름 두르고 깨소금을 올려서.. 2024. 3. 5.
한국인의밥상 169회 :: 그 많던 웅어는 다 어디로 갔을까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조신한 선비들도 봄이면 그 맛이 생각나 몸이 달았다는 행주산성의 명물 웅어는 기름이 많아 고소하고 부드러운 감칠맛이 일품입니다.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 ‘웅어완자회’는 웅어를 머리와 내장, 지느러미를 잘라내고 가운데 뼈를 발라냅니다. 그래서 머리와 뼈를 곱게 다져서 전분을 조금 넣은 뒤에 둥글게 빚습니다. ‘웅어완자매운탕’은 고춧가루 풀은 물에 웅어살과 머리를 넣고 끓이다가 완자을 넣고 끓입니다. ‘웅어전’은 웅어는 면으로 뜬 살을 밀가루, 계란옷을 입혀서 팬에 기름을 두르고 부칩니다. ‘웅어회비빔밥’은 웅어를 회치고 상추, 파 등 야채와 밥을 넣고 초고추장을 부어서 비벼줍니다. *충청남도 서천군 금강하구 웅어는 성질이 급해서.. 2024. 2.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