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인의밥상 162회 :: 방풍을 아십니까 ‘금오열도의 봄 밥상’

by 한밥러버 2024. 2. 9.
728x90
반응형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겨울내 매서운 해풍을 견디고 새순을 피워낸 녀석들입니다. 조선시대 허균선생이 진미로 꼽았다던 그 방풍입니다. 한동안 우리 밥상에서 사라졌던 방풍이 다시 돌아왔습니다.

 

*전라남도 여수시 금오도, ‘심포마을

마을이 온통 방풍 밭입니다.

방풍효소는 설탕:방풍=1.2:1로 넣고 발효시킵니다.

방풍무침은 방풍을 씻어 매콤한 양념에 방풍효소를 넣고 비벼줍니다.

방풍튀김은 방풍에 튀김옷을 입혀서 튀깁니다.

방풍전은 방풍에 당근을 좀 넣고 부침반죽을 만들어 비벼서 부쳐줍니다.

고구마 빼때기는 빼때기 죽, 밀가루 묻혀서 찌기도 합니다.

건방풍나물밥은 말린방풍을 삶아 찬물에 씻은 뒤 꼭 쫘서 들기름에 살짝 볶아서 쌀 위에 얻은 뒤에 밥을 짓습니다.

방풍무침은 끓는 물에 방풍을 넣고 데쳐서 찬물에 씻은 뒤에 데친 오징어와 함께 초고추장에 무칩니다. 밥과함께 비벼 먹기도 합니다.

방풍된장국은 된장 푼 물이 끓으면 바지락, 방풍을 넣고 끓여냅니다.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연도

바다가 깊고 물살이 쌘 연도는 양식이 안되서 파도가 잠잠할 때 해녀들이 해산물을 캡니다.

볼락이 통통하게 살이 쪄서 요리하는데 맛있다고 합니다. 볼락은 물 속에서 집단으로 형성해서 삽니다.

볼락회는 볼락을 손질을 해서 회를 뜹니다.  그리고 방풍잎에 쌈장과 마늘을 넣고 싸먹습니다.

방풍해삼물회는 해삼을 다듬어 먹기좋게 썰고 양파, 당근, 오이, 무채, 고추 와 방풍잎을 넣고 양념장과 얼음을 넣고 물을 부어 비벼먹습니다.

방풍군소무침은 군소를 삶아 먹기 좋게 썰고 데친 방풍을 넣고 초고추장에 무쳐줍니다.

전복찜은 달래를 다지고, 다진마늘, 다진파, 다진 당근, 간장, 고춧가루 등을 넣고 달래장을 만들어서 전복 위에 올려 쪄줍니다.

볼락냉이매운탕은 무를 깔고 쌀뜬물을 넣은 뒤 볼락을 얻고 고추, 파 등과 함께 양념장을 넣고 끓이다가 마지막에 냉이를 넣고 한소끔 끓입니다.

뿔소라구이는 석쇠 위에 올려서 굽습니다.

갯바위 사이에서 자라나는 야생방풍은 3~4년 지난 뿌리를 약으로도 쓰인다고 합니다.

방풍죽은 방풍을 데쳐서 참기름에 비빈 뒤에 죽을 쑤고 그 위에 넣고 다시 끓여냅니다.

노래미쑥국은 쌀뜨물을 넣고 된장을 풀고 다져서 칼집 넣은 노래미, 다진마늘을 넣고 끓입니다. 그리고 쑥을 넣고 끓여 냅니다.

쑥개떡은 쑥을 절구에 찧어서 맵쌀가루와 비벼서 반죽을 한 뒤에 모양을 잡아서 찜통에서 찝니다.

쑥버무리는 쑥에 맵쌀가루와 설탕을 넣고 비벼서 찝니다.

 

*전라남도 여수시 금오도, ‘두포마을

노름쟁이는 미나리 비슷하지만 노름스름한 냄새가 납니다. 별꽃도 여린순 일 때는 먹을 수 있습니다.

멧돼지 수육은 솥에 방풍 잔뜩, 황칠나무를 넣고 멧돼지고기를 물을 붓고 삶습니다. 고기는 먹기좋게 썹니다.

방풍장아찌는 두꺼운 면포에 멸치액젓을 부어 맑은 액젓을 만들고 물, 간장, 물엿을 넣고 팔팔 끓인 뒤에 방풍에 뜨거울 때 붓고 손으로 비벼서 잘 섞은 뒤에 하루 뒤에 먹어도 되고 1년 삭혀서 먹기도 합니다.

나물무침은 노름쟁이는 끓는 물에 오래 데치고 몰고개, 콩버무리는 살짝 데칩니다. 갖가지 양념을 해서 무칩니다.

멧돼지구이는 숯불에 구워서 나물들과 함께 먹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