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겨울식재료21 한국인의밥상 308회 ::동해의 바다곳간을 열다, ‘울진 왕돌초’.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동해는 푸짐한 겨울밥상을 책임지는 해산물이 가득합니다. 겨울의 끝자락 동해에 겨울을 맛보러 울진으로 왔습니다.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 ‘후포항’대게는 새벽 3시쯤부터 왕돌초 근처에서 잡습니다. 대게를 먼저 큰거, 작은거 보통 4~5가지로 나누어 줄을 지어놓고 경매를 시작합니다. 다리가 2개 이상 떨어진 것은 탈락입니다.‘대게찜’은 대게를 칼로 입쪽을 찔러 질식(산게를 찌면 다리가 다 떨어짐) 시키고 배를 위로해서 찜통에 넣고 쪄줍니다. 그리고 몸통내장에 김가루, 참기름을 넣고 비벼먹습니다.왕돌초는 여의도의 10배의 크기로 바다 속 작은 산인 이곳은 대게, 문어를 비롯한 각종 수산물이 풍부하여 오래전부터 동해안 지역 어민들.. 2025. 4. 16. 한국인의밥상 307회 :: 아찔한 유혹, 맛을 훔치다, ‘복어밥상’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하늘의 옥 같은 음식(천계옥찬), 지옥을 넘마드는 기이한 맛(마계기미), 모든 생선의 왕(백어지왕)인 복어입니다. 겨울 바다의 진정한 강자 복어가 돌아왔습니다. 이름처럼 맛도 영양도 복덩이이라고 합니다.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우리나라에서 제일 많이 잡히는 것은 밀복이고 동그라미가 선명한 것이 참복, 얼룩무늬가 있는 것이 자주복, 복어 중에 복어라고 불리는 황복 입니다. 전세계의 100여종이 서식하고 있지만 먹을 수 있는 건 10여 종이 있다고 합니다.내장과 피, 눈알에 독이 들어 있는데 복어알에 독이 제일 많다고 합니다.‘모자반복국’은 복어는 내장을 제거한 뒤에 물에 1시간 이상 담가서 피를 다 빼고 마지막에 식초에 버무려서.. 2025. 4. 13. 한국인의밥상 305회 한라산과 오름의 땅, ‘말테우리밥상’.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4계절이 공존한다는 제주도, 말테우리라고 불리는 목동소리에 말이 달립니다. 육지에서는 볼 수 없는 제주만의 문화를 이어가는 말테우리들의 밥상을 찾아갑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장전리토종 조랑말(몽골에서 들어온)은 지구력이 좋고 하체가 튼튼해서 소대신 농사일을 돕기도 했습니다.통돼지를 잡아 불에 그을리고 잡아서 내장은 보통 생으로 먹습니다. 생간을 먹기 좋게 잘라서 소금에 찍어 바로 그냥 먹습니다. 잡은 날만 생간을 먹을 수 있습니다.‘돼지작은창자회’는 작은 창자를 밀가루와 소금으로 몇 번 씻어 냅니다. 그리고 먹기 좋게 썰어서 식초, 소금, 소주, 다진파를 넣고 잘 무쳐서 먹습니다. (그냥 소금찍어서 먹기도 함.)‘돼지내장국’은 .. 2025. 4. 11. 한국인의밥상 304회 :: 설기획 세월이 갈수록 닮아가네, ‘우리는 형제’.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형제 자매들의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그들이 함께 나누었던 밥상이야기입니다.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신덕리‘누른국수’는 물에 껍질을 벗겨 손질한 닭, 무, 양파를 넣고 푹 삶아줍니다. 그리고 밀가루, 콩가루를 섞어 반죽을 해서 얇게 밀어서 칼로 얇게 썰어 삶은 뒤에 그릇에 담아줍니다. 그리고 삶은 닭 살을 잘게 찢은 것, 지단, 표고버섯, 김 등을 고명으로 올리고 닭육수를 부어 줍니다.‘안동식혜’는 엿기름을 물에 넣고 주물러주고 고춧가루 거른 물과 섞어줍니다. 그리고 뜨끈하게 데운 뒤에 찐 고들밥과 무채를 넣어줍니다. 그리고 이뿌게 자른 당근을 띄워줍니다. 그리고 바구니로 덮어 2~3일정도 두었다가 마십니다. *전라남도 완도군 약산.. 2025. 4. 6. 이전 1 2 3 4 ··· 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