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환경문제2 제3의식탁 - 댄바버 :: 제2부 대지 : 자연의 선물 *글 : 제3의식탁 인용, 참조 ※내가 읽는 책들을 정리하여 정보를 쉽게 찾기 위해 쓰는 글입니다. 제2부 대지 : 자연의 선물 7장 강제로 찌우지 않으면 푸아그라가 아니다?: 지붕 위에서 ··· 초원에 사는 행복한 이베리안 피그 ··· 풀을 뜯는 양 떼와 소 떼 ··· 밭에는 보리와 귀리, 호밀 ··· 텃밭에는 채소 ··· 소규모의 다양한 농업 공동체가 산업화된 식품 체계의 최고 대안이라고 추상적이고 희망적으로 이야기해왔다. 하지만 그와 같은 대안을 실제 눈으로 확인할 일은 거의 없다. 지속가능한 농업의 청사진이라고 할 수 있는 지붕위에서의 그풍경을말이다. 그 풍경은 어쩌면 우리 요리의 미래일지도 모른다. (p.146~147):에두아루도는 거위를 강제로 먹이지 않고 푸아그라를 생산했다. 거위가 자유롭.. 2025. 4. 12. 육식의 종말 - 제레미 리프킨 :: 4부 배부른 소 떼와 굶주린 사람들 *글 : 육식의종말 인용, 참조 ※내가 읽는 책들을 정리하여 정보를 쉽게 찾기 위해 쓰는 글입니다. 22. 소 떼의 천국: 현재 전세계적으로 10억 마리 이상의 소가 있다. 그 소들은 6개의 대륙에서 방목되고 있다. 지구 대륙의 1/4은 소와 다른 가축들의 방목지로 사용되고 있다. (p.185): 중앙 및 남북 아메리카에서만 전세게 쇠고기의 43%가 생산되고 있다. 미국은 주요 쇠고기 생산국가로 세계 생산량의 22%를 책임진다. 소련은 전세계 쇠고기의 18%를 생산하며, 그 뒤를 이어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이 각각 약 5%의 쇠고기 생산량을 담당한다. 서구 유럽의 모든 국가들은 총 17%에 달하는 야으이 쇠고기를 생산한다. (p.186): 현재 미국인들은 전세계 쇠고기 생산량의 23%에 달하는 양을 소비하.. 2025. 1. 1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