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제주음식3

한국인의밥상 247회 :: 웃뜨르에 가봅서, ‘제주도 중산간 밥상’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해변 것들, 갯 것들, 웃뜨르 것들이 라고 부릅니다. 돌밭을 갈아 우엉팟을 만들었습니다. 그들 밥상은 눈물없이 들을 수 없는 달콤쌉싸름한 이야기가 있습니다.해안가에서 떨어진 중산간지역을 제주사람들은 웃뜨르라고 부릅니다. 바다와 떨어져 있으니 먹을 것을 얻을 곳은 들녘뿐 하지만 처박한 땅에서 사는 삶은 바람 앞에 촛불같았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토산리‘고구마범벅’은 고구마 껍질을 까서 토막을 내서 물에 넣고 삶아줍니다. 그리고 잘 삶아지면 으깨서 밀가루를 넣고 잘 비비면서 저어 끓여줍니다.‘메밀쌀죽’은 메밀쌀을 갈아서 물에 넣고 저어주면서 끓입니다. ‘무청무침’은 무청을 삶아서 된장, 참기름, 깨소금을 넣고 잘 비벼줍.. 2024. 11. 4.
한국인의밥상 171회 :: 국수 왔수다, ‘제주도 누들로드’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진정한 국수의 땅은 따로 있습니다. 거친 파도와 바람의 땅 제주도 입니다. 국수거리가 따로 있고 1인당 국수 소비량도 전국 최고랍니다. *제주시 조천읍 와흘리 밭이 대부분인 제주도는 잡곡 농사를 많이 짓습니다. 보리, 조, 메밀 등이랑 고구마를 키웁니다. ‘메밀쌀’은 메밀을 맷돌을 갈아서 체에 내려 껍질을 걸려 냅니다. ‘메밀고구마범벅’은 끓는 물에 고구마를 잘라 넣고 메밀가루를 넣은 뒤에 잘 저으면서 되직해질 때까지 끓입니다. ‘메밀조베기’는 끓는 물에 메밀을 질게 반죽해서 수제비처럼 뚝뚝 넣어서 끓이다가 미역을 넣고 끓입니다. ‘메밀 꿩 칼국수’는 메밀가루를 익반죽을 해서 얇게 펴서 칼로 썰어 면을 만듭니다(점성이 없는 메밀.. 2024. 3. 5.
한국인의밥상 109회 :: 이여싸나 이어도사나, ‘제주 해녀 밥상’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바다내음 가득한 제주음식에는 해녀들의 삶이 고스란히 들어있습니다. 그래서 더 오래 기억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문어’는 이동성이 빨라서 조금 전까진 없다가도 금방나타나기도 합니다. 갓잡은 문어를 삶아서 먹기 좋게 잘라 초장에 찍어 먹습니다. *구좌읍 하도리 제주에서 해녀들이 제일 많은 동네입니다. 물질을 하고 나와 잠깐 쉬는 시간 불턱에 불을 쬐러 나와 장작에 소라, 조개 등을 구워 먹습니다. 그리고 밥은 ‘낭푼밥’에 숟가락을 명수 대로 꽂아서 다같이 나눠 먹습니다. 해년들에게 낭푼밥은 지금의 페스트푸드입니다. *서귀포시 안덕면 대평리 ‘배추겉절이’는 배추를 텃밭에서 캐와서 손질하여 씻은 뒤.. 2023. 1.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