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봄음식18

한국인의밥상 269회 :: 열 바닷고기 안 부럽네, ‘충주호 산중어부 밥상’.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산으로 둘러싸인 내륙의 바다, 충주호 산중어부의 밥상을 찾아갑니다.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옥순봉’가물치, 쏘가리, 잉어, 몰개, 징검이새우, 뱀장어, 빠가사리(동자개) 등 민물 토종물고기들이 잡힙니다.‘붕어술국’은 솥에 붕어를 넣고 들기름을 넣어 앞 뒤 익혀주고 물을 조금 붓고 생강가루, 다진마늘을 넣고 푹 끓입니다. 그리고 조리로 걸러서 가시를 다 발라내고 다시 끓이면서 미나리, 대파 등을 넣고 계란물을 풀어 넣고 끓여줍니다.‘붕어찜’은 냄비에 무와 감자를 깔아줍니다. 붕어는 껍질을 칼로 긁어서 손질하고 칼집을 내서 올리고 청양고추, 고추장 등을 넣고 양념을 만들어 올려주고 자박하게 물을 붓고 조려줍니다.‘몰개젓갈’은 몰.. 2024. 12. 22.
한국인의밥상 267회 :: 아버지의 의자, ‘울릉도밥상’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하늘이 허락해야만 들어갈 수 있는 땅, 섬은 자기 속을 들어내지 않습니다. 그치만 어렵게 속내를 알고 나면 그리운 섬입니다. 아버지의 빈자리를 추억하는 밥상을 만나러 갑니다.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수심 20m 정도 들어가서 홍합을 잡습니다. 그리고 바로 항에서 손질을 해서 속살만 골라냅니다. ‘홍합밥’은 홍합 껍질을 벗기고 홍합살을 칼로 썰어 줍니다. 쌀을 씻어 냄비에 넣고 홍합살을 올려서 간장과, 참기름을 넣고 섞어 준 뒤에 밥을 짓습니다.‘홍합산적’은 냄비에 홍합을 넣고 삶은 뒤에 살을 발라서 꼬치에 꽂아 줍니다. 팬에 물, 간장, 조청 등을 넣고 조려줍니다.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울릉도에는 오징어가 흉년이면 산나물이 풍년이.. 2024. 12. 3.
한국인의 밥상 265회 :: 없어서 못 먹나, 몰라서 못 먹지, ‘완도 해조 밥상’.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거센 바람은 높은 돌담을 만들고 세찬 물결은 건강한 해초들을 만듭니다. 온갖 해초들이 바위에 꽃을 피우는 계절입니다. *전라남도 완도군, ‘여서도’봄이면 돌미역 냄새가 섬을 뒤덮습니다. 자연산 여서 돌미역은 잎이 좁고 줄기가 두껍고 미역귀도 더 큽니다. 수온이 낮으면 다 녹아버려서 수심7m에서 돌미역을 낫으로 긁어 뿌리를 상하지 않게 채취합니다.‘미역귀탕’은 말린 미역귀를 물에 넣고 삶아서 뺀 뒤에 다져서 냄비에 넣고 들깨가루와 쌀가루를 물에 풀어서 넣고 계속 저으면서 끓입니다.동의보감에서 해채(미역)는 성질이 차고 맛이 짜며 독이 없다. 효능은 열이 나면서 답답한 것을 없애고 기가 뭉친 것을 치료하며 오줌이 잘 나오게 한다는 기.. 2024. 11. 30.
한국인의밥상 264회 :: 파도와 숲이 함께 차리다, ‘7번 국도 밥상’.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바다와 숲을 사이에 둔 곳에서 길 위에 밥상을 만나보겠습니다.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대보항호미곶은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곳이라 해산물이 많이 잡힌다고 합니다. 암초가 많아 양망으로 돌문어가 많이 잡힙니다. 문어가 가장 맛있고 육질도 쫄깃하면서 씹을수록 맛있는 때가 4월입니다. 보통 문어는 수심 100m에서 1000m에서 자란다고 알려져 있지만 호미곷은 60~70m에 산다고 합니다. 돌문어(참문어)는 전복이나 게를 잡아 먹습니다.‘돌문어라면’은 라면과 스프를 물에 넣고 함께 살아있는 문어를 통째로 넣고 끓입니다.‘돌문어숙회’는 다음에 내장을 제거한 문어에 끈을 묶어 줍니다. 그 다음 물에 소금을 넣고 끓인 다음 넣어다가.. 2024. 11.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