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내 삶의 궤적은 나라가 있어서 가능했습니다. 3.1절 세삼 나라를 생각하게 하는 때입니다. 누군가 태극기를 흔들 때 누군가는 밥을 지었습니다. 이 모두 나라를 구하고 생명을 살리기 위해서 였습니다. 오늘은 밥 한그릇에도 염원을 담았던 그 때의 발자국 길을 걸어볼까 합니다.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김용환선생님’







‘조밥’은 솥에 불린쌀을 넣고 불린조를 섞어 밥을 짓습니다.
‘간고등어찜’은 밥물에 끓어 땀이 날 때 간고등어를 그릇에 넣어 고춧가루, 파, 고추 등을 올려서 넣고 뜸을 드립니다.
‘양미리고추장구이’는 숯에 양미리를 굽고 노릇해지면 고추장양념을 발라서 한번 더 구워냅니다.
‘굴젓무침’은 푹 삭힌 굴젓에 마늘편, 고추, 북어채, 잘게 부순 마른미역 등을 넣고 무쳐줍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신건식선생님, 오건해선생님, 박찬익선생님, 신순호선생님, 박영준선생님.’






‘홍써(홍샤오로우)’는 끊는 물에 두꺼운 오겹살을 넣고 삶아줍니다. 달군팬에 양조간장, 생강채를 넣고 삶은 오겹살을 넣고 물을 자작하게 넣고 졸이다가 얼음사탕(빙탕)을 넣고 불린 표고버섯, 당근 등을 넣고 졸이다가 고추를 넣고 한소끔 끓입니다.
‘짠지볶음’은 소금에 절인 무를 얇게 채썰어 홍,청고추채와 함께 볶아줍니다.
‘납작두부볶음’은 두부를 데친 후에 면보로 싼 뒤 그 위에 도마를 올리고 무거운 돌을 올려 반나절 눌러줍니다. 팬에 양조간장과 생강채를 넣은 뒤 눌러둔 두부를 넣고 부칩니다. 그리고 얇게썰어 고추채와 한 번 더 볶아줍니다.
‘루빙(중국식호떡)’은 밀가루에 뜨거운물을 조금씩 넣으면서 익반죽을 한 뒤에 한 덩어리 위에 마가린을 바르고 넓게 밀어 다시 돌돌 말아줍니다. 먹기 좋게 잘라 기름을 두른 팬에서 둥글게 눌러주면서 구워줍니다.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보리개떡’은 보리가루를 반죽해서 작게 둥글납작하게 빚어서 끓는 물에 넣고 한 번 삶은 뒤에 들기름, 소금 등을 넣고 무쳐줍니다.
‘칡수제비’는 칡을 납작하게 잘라서 절구에 넣고 찧어 말려서 가루를 만듭니다. 칡가루에 물을 넣고 수저로 섞어 질게 반죽해서 끓는 물에 뚝뚝 떠서 넣고 다진마늘, 고추, 파 등들 넣고 끓입니다.
‘빠람죽’은 겉보리가루에 쌀 한 줌 넣고 끓입니다.

‘생선국수’는 끓는 물에 가물치, 붕어 등 민물고기를 넣고 푹 삶아서 힘있게 저어서 채에 물을 뿌리면서 굵은 뼈만 걸러내고 된장을 풀고 파를 넣고 국수를 넣어서 삶아줍니다.
'한국인의밥상보면서 공부하기 : ) >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국인의밥상 409회 :: 밥상은 기억한다! '옛 포구의 봄날' (0) | 2025.11.07 |
|---|---|
| 한국인의밥상 408회 ::아름답고도 애잔하구나, ‘남해바래길이야기’. (1) | 2025.11.02 |
| 한국인의밥상 370회 :: 척하면 삼척, 원시의 맛을 품다. (3) | 2025.08.22 |
| 한국인의밥상 369회 :: 바람 한 점 반찬이 되는, 들밥! (2) | 2025.08.19 |
| 한국인의밥상 368회 :: 귀리밭 들어서니, 풍성한 바다가, ‘강진만 밥상’ (2) | 2025.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