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뱃고동 소리도 사라진 옛포구 그 곳은 물길따라 모여든 사람들이 넘쳐나던 그런 시절들이 있었습니다. 다 사라진 줄 알았는데 밥상 위엔 봄날같이 화려했던 포구의 전성시대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구만리

구만포구는 일 년에 쌀이 구만 석이 나고 나갔다고 해서 지어졌다고 합니다. 바다 해산물을 실고 와서 쌀과 바꿔서 나갔다고 합니다.




‘삽다리곱창찌개’는 돼지곱창을 잘 씻어서 끓는 물에 생각 다진 것을 넣고 잘 데쳐 먹기 좋게 한 입 크기로 썰어 줍니다. 그리고 가마솥에 곱창넣고 김치 송송 썰어 넣고 새우젓 한 줌과, 다진 마늘을 넣고 볶다가 고춧가루 넣고 볶다가 물을 넣고 끓이고 냉이와 대파를 넣어 한소끔 끓여냅니다.
‘동치미찌개’는 짭잘하게 해서 봄까지 먹을 동치미를 담가 둡니다. 냄비에 곰삭은 동치미를 먹기 좋게 썰어 냄비에 넣고 새우젓 한수저와 다진마늘을 넣고 쌀뜨물을 부어 끓여줍니다.
‘삭힌우거지찜’은 김장을 하고 남은 배추잎을 소금에 절여서 깨진독에 넣어서 물이 빠지면서 삭힙니다. 씻어서 냄비에 넣고 들기름 넣고 달달 볶다가 새우젓과 다진마늘을 넣고 쌀뜨물을 조금 넣고 지져줍니다.
‘말린밴댕이짚불구이’는 봄에 잡아 꾸덕하게 말린 밴댕이는 석회에 올려서 짚으로 불을 지펴서 구워줍니다. 잘 구워지면 고추장양념을 발라 한 번 구워줍니다. 머리부터해서 다 먹습니다.
*논산시 ‘강경포구’


바다에서 산란을 하는 참게는 다시 강으로 올라오는 회유성입니다. 제철은 가을인데 토박이들은 봄에 더 많이 먹는다고 합니다.
강경은 금강 하구의 관문으로 한 때는 중국의 무역선을 드나드는 국제적 포구 였습니다. 구한말까지 객주가 등장하면서 젓갈시장이 번성했다고 합니다.








‘참게메기매운탕’은 홍차잎과 연잎차잎을 뜨거운물에 우려서 냄비에 부어줍니다. 그리고 메기를 손질해서 넣고 참게를 등껍질을 떼고 반을 갈라 냄비에 넣고 고춧가루, 양파, 애호박 등을 넣고 끓이다가 어간장으로 간을 합니다.
‘참게장비빔밥’은 산 참게를 간장물에 넣고 10일 숙성을 합니다. 흰 밥에 계란 반숙올리고 참게장살을 꽉 짜서 김가루, 참기름, 깨를 넣고 참게장국물을 넣고 비벼줍니다.
‘조기젓찜’은 조기젓을 찻물에 20분 정도 담가 짠 맛을 빼고 칼집을 낸 뒤에 고춧가루, 다진파, 건고추를 올리고 20분 정도 쪄줍니다.
‘황석어젓무침’은 황석어젓을 머리와 내장을 빼고 양파, 당근, 고추, 대파 등 야채를 어슷썰어 넣고 고춧가루로 양념을 해서 비벼줍니다.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포구’


성당포구는 우리나라 9개 조창 중에 규모가 컸던 조창이라 전라도 일대 세곡이 전부 여기로 왔었습니다. 조운선(세곡을 운바하는 배)에 싣고 서해 앞바다, 강화도를 지나서 한강 타고 마포의 광흥창까지 세곡이 갔습니다.
임금님께 진상했던 웅어는 봄에 제철입니다. 웅어는 뼈째 썰어 바로 회로 먹을 수 있습니다.








‘웅어회무침’은 웅어는 잘 씻어 손질한 뒤에 뼈채 얇게 썰어 미나리, 고추장, 식초, 깨 등을 넣고 무쳐줍니다.
‘웅어회쌈’은 웅어회 사합은 상추에 김을 올리고 김치 웅어를 초장에 찍어 올리고 콩자반 마늘, 고추를 넣고 싸서 먹습니다.
‘잡태기액젓’은 새우, 밴댕이, 황석어 등 여러가지를 소금에 절여서 삭힙니다. 용수를 박에 맑게 걸러 그냥 쓰기도 하고 달여서 어간장으로 쓰기도 합니다.
‘건새우죽순탕’은 죽순을 삶아 길게 찢어 참기름을 넣고 볶다가 찹쌀가루, 들깨가루를 넣고 볶다가 건새우를 넣고 어간장으로 간을 해서 되직하게 볶아냅니다.
‘죽순돼지볶음’은 빨갛게 묻힌 돼지고기를 김치랑 같이 넣고 볶다가 죽순을 찢어 볶고 마지막 간은 어간장으로 잡습니다.
‘홍어전’은 홍어를 먹기 좋게 썰어 밀가루옷, 계란옷을 입혀서 팬에 기름을 두르고 부쳐줍니다.
'한국인의밥상보면서 공부하기 : ) >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국인의밥상 411회 :: 다른 듯 닮은 밥상, ‘부산과 대마도.’ (1) | 2025.11.09 |
|---|---|
| 한국인의밥상 410회 :: 오래된 청춘, ‘나는 오늘도 안녕하다.’ (0) | 2025.11.08 |
| 한국인의밥상 408회 ::아름답고도 애잔하구나, ‘남해바래길이야기’. (1) | 2025.11.02 |
| 한국인의밥상 405회 :: 3.1 운동 100주년 기획, ‘100년의 발자국이 전하는 이야기’. (0) | 2025.10.31 |
| 한국인의밥상 370회 :: 척하면 삼척, 원시의 맛을 품다. (3) | 2025.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