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겨울제철요리14 한국인의밥상 155회 :: 아름다운 인연, ‘연밥상’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진흙 속에서 자라나 모든 것을 내어주는, 그 오래된 인연을 지금 시작합니다.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푸르르던 연잎은 다 지고 연근은 서리가 온 뒤에 연근을 캡니다. ‘연된장’은 메주를 만들 때 연잎가루를 5%로 정도 넣고 메주를 빚어서 된장을 담급니다. 연잎은 강한 냄새들을 잡아줍니다. ‘연된장잡탕찌개’는 물에 연된장을 풀어 전, 나물 등을 넣고 끓이고 연간장으로 간을 합니다. *전라북도 정읍시 ‘연막걸리’는 연잎을 그릇에 깔고 연꽃을 올린 뒤에 막걸리를 부어줍니다. 그럼 작은 막걸리 연못이 생깁니다. 잠시 두어 연향이 막걸리에 입혀집니다. ‘오색연근 찹쌀찜’은 천연색으로 찹쌀에 색을 물들인 다음 연근의 구멍에 채워 찜기에 연.. 2023. 8. 29. 한국인의밥상 153회 :: 어머니와 곳간, ‘한계령 겨울 밥상’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찬 계속을 품은 한계령에는 보물창고가 있습니다. 겨울 곳간입니다. 그곳엔 맷돌처럼 묵직하고 설설 끓는 가마솥처럼 뜨끈한 겨울이야기가 숨어있습니다. 한계령을 따라 어머니의 곳간을 살짝 열어보겠습니다.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 가마솥에 뻣뻣한 나무를 삶아서 껍질을 벗기고 둥글게 묶어 ‘설피’를 만듭니다. 1년의 반이 겨울이기에 설피가 필수입니다. ‘멧돼지구이’는 땅속에 항아리를 묻어서 보관한 멧돼지고기를 꺼냅니다. 맷돼지를 먹기 좋게 얇게썰어 싸리나무를 다듬어서 끼웁니다. 그리고 숯불 위에 올려 굽습니다. 예전부터 멧돼지는 보양식으로 손꼽혔습니다. ‘시래기비지밥’은 맷돌에 불린 콩을 갈고 시래기를 삶아 솥에 기름을 두르고 잘게.. 2023. 8. 20.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