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산으로 둘러싸인 내륙의 바다, 충주호 산중어부의 밥상을 찾아갑니다.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옥순봉’
가물치, 쏘가리, 잉어, 몰개, 징검이새우, 뱀장어, 빠가사리(동자개) 등 민물 토종물고기들이 잡힙니다.
‘붕어술국’은 솥에 붕어를 넣고 들기름을 넣어 앞 뒤 익혀주고 물을 조금 붓고 생강가루, 다진마늘을 넣고 푹 끓입니다. 그리고 조리로 걸러서 가시를 다 발라내고 다시 끓이면서 미나리, 대파 등을 넣고 계란물을 풀어 넣고 끓여줍니다.
‘붕어찜’은 냄비에 무와 감자를 깔아줍니다. 붕어는 껍질을 칼로 긁어서 손질하고 칼집을 내서 올리고 청양고추, 고추장 등을 넣고 양념을 만들어 올려주고 자박하게 물을 붓고 조려줍니다.
‘몰개젓갈’은 몰개에 굵은 소금을 듬뿍 넣고 잘 비벼서 공기가 안들어가게 밀봉해서 2년을 숙성합니다.
‘몰개젓갈파김치’는 몰개젓갈에 물을 붓고 끓여서 식힌 뒤에 채에 걸러줍니다. 그리고 고춧가루를넣어 김치 양념을 만들어 쪽파에 잘 무쳐줍니다.
‘징거미새우 구이’는 굵은 소금을 팬에 깔고 구워서 먹습니다.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산에서 이맘때만 먹을 수 있는 더덕순, 엄나무순, 취나물 등을 캡니다.
‘쏘가리회’는 갓 딴 어린순 나물들과 함께 먹습니다.
‘뱀장어곰국’은 솥에 들기름을 두르고 산 뱀장어를 넣고 뚜껑을 닫습니다. 그리고 한 번 잘 볶아서 익힌 뒤에 쌀뜨물과 통마늘과 서리태콩을 넣고 2시간 정도 푹 고아줍니다.
‘뱀장어내장볶음밥’은 뱀장어를 얼음물에 넣어서 살짝 마취를 시킨 뒤에 내장을 따로 빼내고 손질을 합니다. 그리고 내장을 곱게 다지고 당근, 파, 양파 등을 다져서 같이 볶아 준 뒤에 밥을 넣고 볶아줍니다.
‘민물고기훈제튀김’은 모래무지를 손질 해서 칼집을 내고 소금을 살짝 뿌려서 숯에서 살짝 익힙니다. 석쇠에서 올려놓고 다 탄 숯 위에서 신문지를 덮어 놓고 훈연을 합니다. 그리고 살짝 튀김물에 무쳐 기름에 튀깁니다.
*충청북도 단양군 도담리, ‘도담삼봉’
매자(참마자), 쏘가리, 잉어 등을 잡습니다.
‘잉어곰탕’은 닭, 잉어를 물에 넣고 마늘, 약재 등을 넣고 푹 끓여줍니다. 그리고 체에 걸러줍니다.
‘잉어회’는 잉어를 회를 뜹니다. 그리고 마늘잎을 콩가루에 묻혀 쪄서 같이 먹습니다.
‘뱀장어구이’는 장어를 손질해서 먹기 좋게 썰어서 숯불에서 구워 먹습니다.
‘잉어술포’는 잉어의 내장을 제거하고 손질을 한 뒤 뱃속에 소금, 파채, 생채, 산초를 넣고 막걸리에 절였다가 볕에 말립니다. 바싹 마르기 전에 저며서 먹습니다.
‘어식해’는 붕어는 내장을 빼고 손질 한 뒤에 소금을 치고 좁쌀밥을 밀가루에 묻혀서 붕어 뱃속에 넣고 항아리에 넣었다가 30일 이후에 꺼내서 얇게 썰어 고춧가루 양념에 무쳐먹습니다.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북벽’
다슬기(약골뱅이)를 잡는데 길쭉이(곳체다슬기), 사발(띠구슬다슬기), 도깨비(염주알다슬기)가 같이 잡힙니다. 말조개는 남한강 상류쪽에 서식하는데 다른 곳보다 크기가 좀 작습니다.
‘다슬기말조개된장국’은 끓는 물에 말조개를 넣고 뽀얀국물이 나오면 건져서 살만 발라 다시 육수에 넣고 고춧가루, 된장, 고추, 대파 등을 넣고 삶은 다슬기를 살만 골라서 넣고 끓입니다.
‘쏘가리나물찜’은 쏘가리를 손질해서 뱃속에 솔잎을 따서 넣고 냄비에 무를 깔고 올린 뒤에 장대, 취나물 등 제철 나물을 올리고 고춧가루양념을 올리고 자박하게 끓입니다.
'한국인의밥상보면서 공부하기 : ) >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의밥상 271회 :: 산과 하늘이 만나다, ‘영양 산야초 밥상’ (0) | 2024.12.23 |
---|---|
한국인의밥상 270회 :: 보성, 초록향기에 물들다, ‘녹차밥상’ (0) | 2024.12.23 |
268회 어머니의 노래, ‘고군산군도밥상’. (0) | 2024.12.22 |
한국인의밥상 267회 :: 아버지의 의자, ‘울릉도밥상’ (1) | 2024.12.03 |
한국인의밥상 266회 :: 국민횟감 납시오, ‘광어와 우럭’. (0) | 202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