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벌써 여름을 말하는 요즘이지만 깊고 높은 골짜기 봄이 한창인 곳이 있습니다. 뭐든 푸르면 야무지게 키워내고, 깊숙이 숨겨둔 귀한 것들도 많습니다. 자연이 준 그대로 소박하게 담아낸 산중진미입니다.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섬초리
나물은 때를 놓치면 바로 사라지기 때문에 부지런히 따야합니다. 일원산은 높고 깊어 좀 늦게 나물들을 채취합니다. 어수리, 당귀, 미역취, 까마귀밭, 곰취, 산마늘, 우산나물 등을 채취합니다.
여기서는 나물을 엮어서 바람 잘 통하는 그늘에 매달아서 말립니다.
‘나물밥’은 생나물을 말렸다가 물에 삶은 뒤에 쌀을 씻어 솥에 올리고 나물을 먹기 좋게 썰어 올린 뒤에 밥을 짓습니다.
‘어수리고등어찜’은 어수리를 끓는 물에 데쳐서 찬물에 식혀 물기를 꽉 쫘주고 된장, 고춧가루 등을 넣고 잘 무쳐서 냄비에 깔고 고등어를 올린 뒤에 고춧가루, 청양고추 송송썰어서 올려서 조려줍니다.
‘산나물 육개장’은 취나물, 개미취, 미역취, 고깔나물 등 데친 뒤에 밀가루를 넣고 잘 비벼줍니다. 그리고 고춧가루양념을 넣고 양념이 잘 스며들게 버무린 뒤에 잘게 찢은 살코기를 넣고 비벼 끓는 물에 넣고 푹 끓입니다.
‘두릅튀김’은 튀김가루에 두릅을 잘 묻혀서 튀겨줍니다.
‘참나물전’은 부침물에 참나물을 넣고 잘 비벼서 팬에 기름을 두르고 부쳐줍니다.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용화리
‘고추잎무침’은 고추잎을 물에 흔들어서 씻어 체에 걸러 끓는 물에 데쳐 찬물에 씻어 꽉 쫘줍니다. 소금, 참깨, 들기름, 다진마늘을 넣고 무쳐줍니다.
‘흑염소돌판불고기’는 염소고기의 살을 발라 먹기 좋게 썰어서 양파, 사과와 매콤한 양념장을 버무린 뒤에 잘 달궈진 돌판에 구워줍니다.
‘흑염소곰탕’은 흑염소 뼈와 여러 마가목, 산초잎 등을 넣고 푹 끓입니다.
‘흑염소수육’은 흑염소 곰탕육수가 끓으면 흑염소 고기덩어리를 넣고 끓입니다. 그리고 먹기 좋게 썰어 간장장에 찍어 먹습니다.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문암리
뿌리샘은 물이 시작해서 낙동강으로 흘러갑니다. 아무리 가물어도 뿌리샘은 마르지 않는다고 합니다. 계곡에서는 바위를 흔들어서 가재, 민물고기 등을 잡습니다.
‘말린민물고기조림’은 찜통에 민물고기를 넣고 살짝 찌고 소쿠리에 천을 깔고 올리고 망을 닫아 말려줍니다. 말린 민물고기를 냄비에 깔고 매콤한 양념을 해서 물을 자박하게 넣고 조려줍니다.
‘나물어죽’은 민물고기를 물에 넣고 푹 삶아서 체에 걸러서 다시 솥에 넣고 끓이고 고사리, 배추 등 나물을 데쳐서 다진마늘, 고춧가루, 3,4년 묵은 메주고추장으로 비벼서 어죽에 넣고 불린 쌀을 넣어 푹 끓입니다.
‘메주고추장’은 속이 까만 메주를 절구로 찧어서 항아리에 넣고 물을 넣어 잘 섞은 뒤에 1달 정도 발효를 시킵니다. 그리고 고춧가루를 섞어줍니다.
‘나물메주고추장떡’은 나물을 송송 썰고 고추 송송 썰어 밀가루를 붓고 메주고추장을 넣어 잘 치대 줍니다. 그리고 면보 위에 반죽을 넓게 펴고 솥뚜껑에 묶은 뒤에 밥을 하는 솥을 덮어서 쪄줍니다.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곡리
일월산은 산세도 아주 좋고 주로 야생화가 많고 벚나무, 자운영, 피나무 이런 꽃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양봉하기 좋다고 합니다.
산에서 20년 넘게 키운 산삼도 키우십니다.
일월산에는 약초가 많습니다. 더덕, 골담초, 잔대, 산초뿌리 등을 캡니다. 골담초는 관절에 좋다고 합니다.
‘고추장잔대구이’는 잔대를 까서 절구로 두들겨서 고추장 양념을 발라서 팬에 기름을 두루고 구워먹습니다.
‘취떡’은 떡취를 데쳐서 물기를 짜서 잘게 썰어 쌀가루와 잘 섞어서 면보에 넣어서 찜통에 넣어서 쪄줍니다. 그리고 절구에 넣고 찧어서 콩고물을 묻혀서 먹기 좋게 썰어줍니다. 옛날에는 더위먹지 말라고 여름 전에 먹던 떡이였다고 합니다.
‘단삼닭발편육’은 단삼, 우슬, 마늘 등 약초를 물에 넣고 푹 끓입니다. 그리고 닭발에 밀가루 넣고 물을 부어 주물럭해서 씻어서 약초육수에 닭발을 넣고 푹 끓입니다. 그리고 틀에 부어서 식혀서 먹기 좋게 썰어줍니다.
‘꽃파전’은 부추와 함께 부침개 반죽을 한 뒤 팬에 기름을 두르고 올리고 골담초, 잔디꽃을 올려서 전을 부쳐줍니다.
'한국인의밥상보면서 공부하기 : ) >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의 밥상 318회 :: 입을 속여 혀를 즐겁게 하다, ‘쌈’. (0) | 2025.05.04 |
---|---|
한국인의밥상 317회 :: 장터에서 길을 찾다, ‘장돌뱅이 밥상’ (0) | 2025.05.02 |
한국인의밥상 316회 :: 가정의 달 기획, ‘내 인생 단 하나의 음식’. (0) | 2025.05.02 |
한국인의밥상 315회 :: 부처님오신날 기획, ‘공양과 수행은 하나다’. (1) | 2025.05.01 |
한국인의밥상 314회 :: 스치듯 지나가는 봄바다의 아쉬움, ‘서해 봄 밥상’. (0)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