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유난히 무더웠던 여름을 이기고 가을이 되자 머리를 들고 일어나는 녀석들, 귀하다는 송이버섯이 지천입니다. 영덕의 가을을 더 풍성하게 채워주는 야생 버섯들, 그 향기로운 밥상을 만나러 가보겠습니다.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강구항
송이버섯은 오래 전부터 영덕의 주요 특산물 중 하나입니다. 민달팽이는 송이버섯을 긁어 먹습니다. 송이버섯을 날 때는 산에서 먹고 자면서 동태를 살피면서 캡니다. 송이버섯 뿌리 보고 45로 찌른 다음에 들어 올린 뒤에 최대한 뿌리 쪽을 잡고 뽑습니다. 송이버섯은 때를 놓치면 갓이 펴서 상품가치가 떨어 진다고 합니다.
‘송이버섯닭백숙’은 냄비에 닭을 넣고 갓이 크거나 벌레먹거나 하는 상품가치가 없는 송이버섯을 찢어 넣고 푹 삶아줍니다.
‘송이버섯간장장아찌’는 애기 송이버섯을 반으로 잘라 병에 넣고 간장, 물, 식초를 넣고 끓여서 뜨거울 때 부어서 뚜껑을 닫은 다음에 숙성을 시킵니다.
‘송이버섯고추장장아찌’는 고추장양념에 반 자른 송이를 비벼서 바로 먹기도 하고 숙성을 시켜서먹기도 합니다.
‘송이버섯구이’는 송이버섯을 상수리나무나 떡갈잎으로 싸서 숯불에서 구워줍니다.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개울에 통발을 넣어두면 미꾸라지, 버들치 등을 잡힙니다.
‘추어탕’은 산미꾸라지에 굵은 소금을 뿌려서 두었다가 잘 씻어 솥에 넣고 끓입니다. 푹 끓여서 으깬 다음 나물을 넣고 간을 하고 끓입니다.
‘송이버섯돌문어연포탕’은 문어를 밀가루를 뿌려 문질러서 씻어 줍니다. 싸리버섯은 미리 찬물에 담가서 독을 좀 빼고 전골에 싸리버섯,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등과 함께 야채를 넣고 문어를 넣고 끓입니다. 그리고 맨 마지막에 송이버섯을 손으로 찢어 넣고 한소끔 끓입니다.
‘버섯잡채’는 당근, 애호박, 싸리버섯, 새송이버섯, 송이버섯 등을 각자 볶아서 그릇에 담습니다. 그리고 참기름을 넣고 섞어줍니다.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가을이 되면 영해 5일장이 풍성해지는데 홑데기, 오징어, 고등어 등이 나옵니다.
‘고등어국’은 솥에 손질한 고등어를 머리째 넣고 푹 끓입니다. 그리고 가시를 다 발라서 다시 넣고 끓이고 고사리, 호박잎 등 나물을 데쳐서 찬물에 씻어 물기를 쫘주고 간장, 고춧가루 등을 넣고 양념해서 넣고 끓여줍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대파를 넣고 한소끔 끓입니다.
‘홑떼기밥식해’는 홑떼기를 지느러미들을 다 가위로 잘라 손질을 해서 토막을 내고 엿기름가루를 뿌려서 잘 섞어 준 뒤에 숙성을 시킵니다. 그리고 다진마늘, 고두밥, 고춧가루, 절인무 등을 넣고 잘 섞어줍니다. 그리고 항아리에 넣어 5일 정도 숙성을 시킵니다.
‘아귀탕’은 생아귀를 손질을 해서 토막을 냅니다. 냄비에 무랑 콩나물을 깔고 물을 넣고 생아귀를넣은 뒤에 끓이다가 미나리, 느타리버섯 등을 넣고 끓입니다.
송이버섯도 맛있지만 영덕에서 나는 잡버섯들도 맛있습니다. 밤버섯, 영지버섯, 능이버섯 등을 채취합니다.
‘송이버섯방어물회’는 작은 방어를 회를 떠서 송이버섯을 얇게 찢어 올리고 양파채, 배채, 오이채, 쪽파 송송 올리고 고추장, 설탕 등을 넣고 물을 부어서 먹습니다.
‘버섯돼지고기두루치기’는 능이버섯, 싸리버섯 등 잡버섯과 돼지고기, 양파, 대파와 섞어 고추장양념을 해서 잘 버무려서 팬에 기름을 두루고 볶아줍니다.
‘멧돼지수육’은 솥에 멧돼지고기를 넣고 뽕나무잎을 줄기채 넣고 상황버섯, 영지버섯 등을 넣고 된장을 풀어서 푹 삶아줍니다. 먹기 좋게 썰어서 소금에 찍어 생송이버섯과 함께 먹습니다.
'한국인의밥상보면서 공부하기 : ) > 가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의밥상 292회 :: 전설의 황금어장, ‘칠산바다의 추억’. (0) | 2025.02.04 |
---|---|
한국인의밥상 291회 :: 서해의 곳간, 홍성. ‘곰삭은 맛의 진수를 품다.’ (0) | 2025.02.02 |
한국인의밥상 289회 :: 먹지 말걸 그랬어. 헤어날 수 없는 맛의 유혹, ‘곰장어밥상’. (0) | 2025.01.30 |
한국인의 밥상 288회 :: 네 덕에 즐겁구나, ‘오리밥상’. (0) | 2025.01.30 |
한국인의밥상 287회 :: 장항선, 덜컹거리는 그리움을 맛보다. (1)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