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햇살과 바람이 잠자던 생명들을 깨우는 봄입니다. 회색빛 자연에 하나, 둘 색과 향을 입힙니다.
제주도를 통해 제일 먼저 봄 소식을 알리는 곳이 바로 해남입니다.
쪽파가 파릇파릇한 것이 곧 수확할 때가 됐습니다.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해원리
겨울이 가고 있음을 알리면 찾아온 고운 손님 ‘봄동’입니다. 김장김치를 담그는 배추뿌리에서 다시 새싹이 나오는 것이 봄동입니다. 봄을 알리는 것이기도 합니다. 봄동은 줄기가 더 달짝지근하니 맛있고 이 위에 노란 잎 부분은 조금 떼어 버려도 괜찮습니다. 찬서리를 맞으면서 자라서 일반 배추보다 더 두껍습니다.
‘봄동 겉절이’는 봄동을 조직대로 길게 잘라 소금에 절이지 않고 그대로 양념에 무칩니다. 김장김치가 맛이 좀 변했다 할 때 봄이 돌아올 때, 입맛 없을 때 먹습니다. 갓 지은 밥에 얻어 먹으면 최고랍니다.
봄동은 비타민과 식이섬유가 풍부해서 겨울철에 부족했던 영양분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봄동조갯살초무침’은 봄동을 데쳐서 된장, 고추장, 다진마늘, 홍고추, 고추가루 등 양념과 조개살과 무쳐서 먹습니다.
‘봄동 된장국’은 겉절이나 무침 등 하고 남은 봄동으로는 국을 해먹습니다. 된장을 푼 물이 끊으면 굴을 넣고 충분이 끊인 다음에 봄동을 넣고 살짝 끊입니다. 푹끊으면 시래기처럼 되버리기 때문입니다.
줄기와 잎이 연한 속잎은 따로 골라서 ‘봄동전’을 부칩니다. 봄동에 부침물을 묻혀 기름 두른 팬에 올린 뒤에 위에 조갯살과 홍고추를 놓고 부칩니다.
언땅을 뚫고 꽃을 피운 민들레가 나왔습니다. 민들레의 잎이나 이런 뿌리에서 흰액이 나오는데 이 흰 액이 위장이나 간에 좋다고 해서 약용으로 많이 쓰입니다.
마른 풀을 걷으면 씀바귀(=사랑불)이 있습니다.
잎이 광대의 옷처럼 생겼다해서 붙여진 이름 ‘광대나물’입니다.
가시나물이라고 불리는 ‘엉겅퀴’도 새싹이 납니다.
얼룩얼룩 하다고 해서 곰보라고 하고 배추 모양으로 생겼다고 해서 ‘곰보배추’라는 이름을 가졌지만 봄에 먹는 약초입니다. 이가 아플 때 잎을 씹어서 물고 있으면 통증이 없어진다고 합니다.
‘엉컹귀 된장국’은 끓는 물에 엉겅퀴를 데친 다음 엉겅퀴와 된장푼 물을 넣고 끓입니다. 간에 좋은 엉컹퀴라서 해장에도 도움이 됩니다. 옛날에는 엉겅퀴로 국을 끓이면 고깃국보다 더 맛있다고 했답니다.
‘곰보배추 겉절이’는 고추가루, 여러 효소, 다진마늘 등을 넣고 무칩니다. 그럼 쌉싸름 맛이 도는 겉절이가 완성됩니다.
어린 광대나물을 뜯은 것을 무치고, 씀바귀도 무쳐서 먹습니다. 민들레는 튀김을 해먹습니다.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초호리, ‘신방마을’
해남은 전라남도에서 제일 큰 땅을 가지고 있습니다. 농지면적만 해도 전국 1위 입니다.
봄이면 마을 여기저기서 언 땅에 호미질 하는 소리가 들립니다. 봄나물을 캡니다. 이른 봄에 ‘냉이’가 납니다. 잎보다 뿌리에 향이 더 납니다. 곰밤부리(=별꽃)는 된장에서 버무려서 초고추장에 먹으면 맛있답니다. 마늘밭에는 달래가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달래는 설 세고 나면 자라기 시작해서 삼월에 수확을 합니다.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초호리 ‘신방저수지’
해남에는 논용 저수지가 많습니다. 하지만 해남에서는 저수지에서 민물새우(토하)를 양식합니다.
달래를 적당히 설고 토하를 넣고 간장, 고춧가루, 참깨 등을 넣고 비벼서 ‘토하 달래 간장’을 만듭니다. 구수한 맛이 나는 토하가 쌉싸름한 달래를 만나 어우러져 색다른 맛을 냅니다.
‘무굴밥’은 무를 채썰고 굴을 넣고 밥을 합니다. 무와 굴에서 나오는 수분을 고려해서 물은 적게 넣습니다. 그리고 토하달래간장에 비벼먹습니다.
‘냉이 된장국’은 된장 푼 물에 끓으면 냉이를 넣고 굴을 넣습니다. 냉이는 튀김, 전 등 활용도가 높습니다.
‘곰밤부리버섯무침’은 곰밥부리랑 느타리버섯를 데쳐서 초고추장에 무칩니다. 곰밤부리는 열을 해독하기도 하고 상처가 나서 피가 나면 찧어서 바르면 지혈도 된다고 합니다.
봄이면 냉이로 튀김도 해먹습니다. 봄나물을 싫어하는 아이들도 튀김이나 전은 좋아합니다.
『동의보감』에 달래, 냉이, 쑥 등 약용으로 쓰였다고 나와 있습니다.
봄나물은 겨울에 섭취할 수 없었던 다양한 영양소들, 효능, 성분들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습니다. 달래는 한방에서는 해백이라는 약재로 쓰이기도 합니다. 해백은 뿌리 부분만 잘 말려서 쓰는데 우리 몸을 따듯하게 해줘서 양기를 잘 통하게 해 줍니다. 냉이는 특히 단백질이나 무기질이 다른 식물에 비해서 풍부합니다. 쑥은 한약재 명으로는 애엽이라고 합니다. 우리 몸에 흐르고 있는 혈을 따뜻하게 해줘서 흐름을 잘 이어줍니다.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녹우당’
나물은 날 것을 그대로 먹는다는 뜻의 우리말로 알려져 있지만, 나물 즉, 신라백성이 많이 먹는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된다는 설이 있습니다.
삼국유사에 마늘과 쑥이 등장한 것을 보면 나물은 삼국시대 때부터 이미 나물을 먹었던 것 같습니다. 그 후 전란과 민란, 흉년과 가뭄 등으로 궁핍해진 서민들에게 중요한 음식으로 밥상에 올랐습니다.
겨울을 지나 봄이 오면 꼭 보릿고개가 있었습니다. 지금은 나물을 찾아먹지만 옛날에는 생존을 위해 먹었습니다.
녹우당에는 나무로가 특별한 인연이 전해오고 있습니다. ‘채애도’라는 그림이 있습니다. 18세기 초 윤두서의 풍속화로 봄날 두 여인이 비스듬히 기운 언덕에서 나물 캐고 있는 모습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그림입니다.
고산 윤선도가 쓴 시는 순수한 한들로만 쓴 시로 그중에서 나물에 대해서, 풋나물에 대한 것도 써 놓으신 것이 있습니다.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미황사’
육식을 금하는 불교에서는 나물은 매우 중요한 식재료입니다. 그래서 봄이 어면 보살님들까지 바빠집니다. 나물들은 때가 지나면 못먹기 때문입니다.
‘방풍나물’은 풍을 막아줍니다. 물기가 있는 땅에는 ‘소루쟁이’가 납니다. 잎이 부딪히면 소리가 난다고 해서 소리쟁이라고도 합니다. 피부병과 변비에 좋습니다. ‘머위’는 뿌리와 잎 버릴 것이 없는 귀한 봄나물입니다. 가장 공드려서 캐는 나물은 ‘고수’입니다. 수행 정진해야 하는데, 좋은 기운을 주고 상기된 기운을 내려주는 좋은 성분이 많아서 이런 봄날에 뿌리째 많이 드십니다.
마음의 수행을 해야 하는데 수행에 자극을 주는 채소들이 있습니다. 파, 마늘, 부추, 달래 같은 채소들은 수행하는데 방해를 주고 자극성이 좀 있다고 그래서 안 먹습니다. 그래서 절에서 김치 담글 때는 마늘은 넣지 않고요. 또 일반 음식을 할 때에도 파, 마늘 다 안 넣습니다.
머위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많고 쓴 맛이 강하지만 그 맛에 먹습니다. 고춧가루와 젓갈 등을 넣고 겉절이를 합니다.
‘고수나물’도 고춧가루 청, 참기름 등을 넣고 잘 무칩니다. 향이 강하고 독특해서 그것을 조금 완화시키기 위해 참기름을 많이 넣습니다. 고수나물로 전을 부치면 좀 먹기 수월해 집니다.
‘방풍나물’은 데쳐서 무칩니다.
봄철 나물을 오래두고 먹고 싶으면 장아찌를 만듭니다. 달래, 냉이, 머위 등 왠만한 나물로 다 담글 수 있습니다.
‘애탕국’은 된장푼 물을 끓이고 굴을 넣어 육수를 만들어 향을 강한 쑥을 밀가루에 무친 뒤에 넣어 끊입니다. 어린쑥이 나올 때 해먹습니다. 크면 쑥이 쓰기 때문입니다.
‘쑥떡’은 흔하지만 해남식은 특별합니다. ‘꽃떡’이라고 하는데 우선 쑥과 찹쌀가루를 버무려서 참기름에 지진 후에 팥소를 올려 손으로 둥글게 모양을 잡아 줍니다. 그리고 대추, 잣 고명을 올립니다.
*해남어촌마을
겨울내내 세발나물 때문에 바쁘게 지냈습니다. 잎이 가늘고 긴 낙지발같다고 해서 세발나물이라고 합니다. 원래 짠맛이 있어 간은 많이 안해도 됩니다. 갯벌에서 자라던 나물이라고 합니다.
세발나물과 돼지고기가 궁합이 잘 맞아 쌈대신 세발나물에 싸먹기도 합니다. 세발나물은 칼슘이 많아 그냥 먹기도 하고 겉절이로도 무쳐서 먹는다고 합니다.
바다에 봄이 오면 바다로 나갑니다. 갯나물을 뜯기 위해서 입니다. 얼었다 녹았다 할 때인 초 봄 톳과 파래가 참 좋다고 합니다.
‘파래달래김치’는 파래를 소금에 잘 주물러 씻은 후에 묵은 김치와 달래를 썰어 넣어서 김치를 담그면 맛있답니다. 양념도 필요없고 만드는 방법도 간단합니다.
‘파래떡(=허드레떡)’은 쌀가루에 다진 파래와 삶은 통팥을 섞어 시루에 넣고 찝니다.
톳은 식이섬유도 풍부하지만 바다 나물 중 가장 칼슘이 많다고 합니다.
톳과는 숙주나물이 잘 어울립니다. 톳과 숙주나물을 데쳐서 초고추장에 무칩니다. 톳을 넣고 밥을 해도 영양식입니다.
'한국인의밥상보면서 공부하기 : ) >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의밥상 62회 :: 봄바다의 불로초, ‘완도 김 미역’ (0) | 2021.03.10 |
---|---|
한국인의밥상 61회 :: 맛도 사연도 치명적인, 부산 복어 밥상 (0) | 2021.03.07 |
한국인의밥상 20회 :: 생명력 움트는 대숲의 맛 ‘담양죽순요리’ (0) | 2020.08.31 |
한국인의밥상 19회 :: 천년의 건강밥상 ‘지리산 산나물’ (0) | 2020.08.30 |
한국인의밥상 18회 :: 오뉴월 입맛, 게 섰거라 ‘태안 꽃게’ (0) | 2020.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