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72 한국인의 밥상 52회 :: 곰삭은 세월의 맛, ‘나주 곰탕’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남도 삼백리 산과 들을 휘감으면 영산강이 흐릅니다. 물줄기를 따라 역사가 흐르고 뜨거운 사연들이 함께 흘러 한 그릇 탕으로 끓습니다. ‘곰탕’입니다. *전라남도 나주시 전주의 ‘전’과 나주의 ‘나’를 따서 전라도라고 할 정도로 나주는 중심지였습니다. 유서가 깊은만큼 다양한 음식이 발달했습니다. 유서가 깊은 만큼 전국에 20개 정도만 있던 내아 중 유일하게 목사내아가 남아있습니다. *전라남도 나주시 세지면 송제리 ‘화탑마을’ 나주평야 덕분에 나주의 밥상은 항상 풍요로웠습니다. 배나무는 가지를 잘라줘야 겨울에도 햇빛이 들기 때문에 잘 자랍니다. ‘소머리곰탕’은 마을회관 앞에 솥에 불을 지피고 소머리고기와 잡뼈를 넣고 끊입니다. 그리.. 2021. 2. 12. 한국인의밥상 51회 :: 지난 100년의 기억을 찾아서, ‘서울 토박이 밥상’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인구 천만의 도시 서울, 서울에는 모든 음식은 다 있습니다. 단 하나가 없는게 있습니다. 바로 서울 음식입니다. *서울시 종로구 장터에만 있던 음식, ‘설렁탕’입니다. 설렁탕의 국물은 뼈국물이 아니라 고깃국물입니다. 소의 여러부위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부위는 양지머리입니다. 설렁탕 국물은 두시간 반에서 세시간 정도 끓여서 쌀뜨물색이 나와야합니다. 설렁탕의 유래설은 첫째, 임금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선농제에서 끓였던 선농탕에서의 유래, 두 번째 몽골 음식 중 고기 삶은 국 ‘술루(맹물에 고기를 넣고 끓이는 음식)’ 유래입니다. 이 중 몽골에서 왔다는 유래가 더 근거가 있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서울음식으로 자리잡은 것은 어떤 이.. 2021. 2. 10. 한국인의밥상 50회 :: 동해가 빚은 순백의 향연, '강릉 초당두부'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처음엔 그저 한 알의 콩에 불과했지만 맷돌에 온 몸이 으스러지고 뜨거운 불과 차가운 바닷물을 만나면 순백의 얼굴로 네모 반듯한 모양으로 태어났고 사람들이 반겨주었습니다. *강원도 강릉시 성내동 ‘남대천 번개시장’ 번개 시장에서는 먼저 자리잡는 사람이 임자입니다. 말을 못하는 할머니가 두부를 팝니다. 맛도 좋고 싸서 단골 손님들이 많습니다. 비지도 덤으로 싸줍니다. *강원도 강릉시 초당동 ‘초당마을’ 매일 아침 뜨끈한 두부를 만드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입니다. ‘초당두부’는 12시간 불린 콩으로 매일 아침 두부를 만듭니다. 장작불로 해서 만들기 때문에 불이 가장 중요 합니다. 너무 세게 때면 탄 냄새가 나고 또 약하게 때면 더디.. 2021. 2. 8. 한국인의 밥상 49회 :: 인고의 세월을 담다, ‘영주 메밀묵밥’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메밀묵밥’은 메밀묵을 채썰어 넣고 겨울에 많이 나는 무를 양념해서 얻고 그 위에 김가루얻고 파, 깨소금 얻고 육수를 부어주고 거기에 조밥 한그릇 말아먹으면 그 맛이 참 좋습니다. 한가한 오후에 메밀묵 쑬 준비를 합니다. 지난 가을 수확한 메밀을 갈고 뜨거운 물과 잘 섞어서 잘 불러줍니다. 잘 불린 메밀을 고운체에 넣어서 저어가면서 걸러줍니다. 메밀가루를 다 거르면 솥에 넣고 끊여주면서 계속 저어 주어야 합니다. 안저으면 눌러부터서 안 됩니다(그리고 한 분은 계속 불조절을 합니다). 그리고 한 방향으로만 저어야합니다. 한시간가량 끊이면서 저어주다가 소금을 넣고 잘 섞은 다음 퍼내서 틀에 넣고 굳혀줍니다... 2021. 2. 7. 이전 1 ··· 53 54 55 56 57 58 59 ··· 6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