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가을제철식재료28 한국인의밥상 292회 :: 전설의 황금어장, ‘칠산바다의 추억’.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칠산바다는 흑산도, 연평도와 함께 3대 조기어장이였습니다. 세월이 지나고 칠산바다의 명성은 예전 같지 않지만 여전히 여기에 기대어 하시는 사람들은 칠산바다로 나갑니다. 한 평생 칠산바다와 함께 살아온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전라남도 영광군 백수읍 약수리개막이어업은 참나무 같은 걸 겨울에 눈 내릴 때 베어가지고 갯벌에 박고 거기다 그물을 치고 고기를 잡는 어업입니다. 그 어업으로 중하, 웅어, 조기, 부세, 서대, 망둥어 등을 잡습니다.‘조기구이’는 조기의 지느러미를 다 잘라 손질을 하고 소금을 뿌린 뒤에 숯불에서 구워줍니다. 먹을줄 안다는 분들은 머리부터 먹는데 조기는 머리 속에 돌맹이만 빼고 다 먹을 수 있습니다.‘조기매운탕’은 .. 2025. 2. 4. 한국인의밥상 291회 :: 서해의 곳간, 홍성. ‘곰삭은 맛의 진수를 품다.’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넓은 서해를 품에 안고 산과 들을 마당삼아 사는 곳, 가을의 진수를 느낄 수 있는 홍성입니다. *천수만망둥이, 조개, 새우 등이 이 바다에서 나옵니다. 이 가을 제일 환영받는 것은 대하입니다. 대하의최대 산란지가 천수만입니다. 대하는 잡자마자 죽기 때문에 살아있는 대하를 보기 힘듭니다.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대하구이’는 팬에 굵은 소금을 깔고 대하를 올려서 구워줍니다.‘대하전’은 대하의 껍질을 벗겨 살을 다져서 쪽파, 당근 등과 함께 반죽을 해서 팬에 기름을 두르고 한수저씩 떠서 전을 부칩니다.‘대하찜, 갑오징어찜’은 찜통에 갑오징어는 머리 뼈를 빼고 대하는 통째로 넣고 쪄줍니다.‘복어아욱탕’은 손질해서 말린 복어를 물에 씻어.. 2025. 2. 2. 한국인의밥상 287회 :: 장항선, 덜컹거리는 그리움을 맛보다.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천안에서 익산까지 서해를 옆에두고 충청도를 가로지르는 기차가 장항선입니다. 장항선이 안내하는 철길따라 추억하는 음식을 만나러갑니다.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해발 400m이상 광덕면은 고려시대 중국에서 호두나무를 들여와 처음 심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호두나무는 배수가 잘 되야 열매를 많이 맺습니다. 과육이 벌어지기 시작하면 땅에 떨어지기 전에 수확을 해야 좋은 호두를 수확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열매를 수풀로 덮어 일주일 정도 말리면서 숙성을 시키고 방망이로 두들기면서 과육을 까줍니다.‘호두과자’는 곡식가루에 계란, 우유를 넣고 오래 저어서 찰지게 반죽을 하고 호두과자틀에 호두를 부셔 넣고 반죽을 넣고 앙금을 올리고 반죽 살짝 .. 2025. 1. 25. 한국인의 밥상 245회 :: 통으로, 생으로~ 거친 것이 좋다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같은 고춧가루라도 절구나 디딜방아로 찧은 것과 기계로 곱게 간 것의 맛이 차이가 나고, 돌확에서 거칠게 간 것과 분쇄기에서 균일하게 간 수수도 차이가 납니다. 거친 맛을 살리는 맛을 찾아나섭니다.용이 약수 마시며 쉬었다는 ‘갈천약수’, 철분, 불소 성분이 많다고 합니다. *강원도 양양군 서면수칡은 칡덩굴을 보면 칡가루가 안 앉았습니다. 칡 노두에서 나온 싹이 콩처럼 노랗게 익으면 칡가루가 앉아서 암칡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칡 노두에서 나온 싹 가닥이 길게 죽 뻗은 건 칡뿌리도 장대처럼 길게 뻗어 있습니다. 칡가루를 내려면 칡이 통통한 암칡으로 합니다. 암칡은 수칡보다 크고 나이테도 넓습니다. 수분이 많고 단맛도 강해 음식을.. 2024. 11. 1. 이전 1 2 3 4 5 ··· 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