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한국인의밥상보면서 공부하기 : )/봄67

한국인의밥상 116회 :: 꽃비 내리는 날, ‘섬진강에 취하다.’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꽃이 피면 긴 섬진강도 겨울잠을 깨고 봄손님들이 찾아옵니다. 지리산에서 시작되서 남해를 앞둔 섬진강은 넓고 깊어집니다. *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 신원리 ‘재첩(갱조개)’는 섬진강 하구,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에서 서식하는 민물 조개입니다. 갯벌이 많은 곳에서 잡히는 것은 검은빛을 띄고 모래가 많은 곳에서 자란 것은 노란빛을 띕니다. ‘재첩국’은 솥에 물을 끊이고 팔팔 끊으면 재첩을 넣고 계속 저으면서 삶습니다(그래야 살과 껍질이 분리가 잘 된다고 합니다). 국물과 재첩살을 그릇에 담고 송송썰은 부추를 올려 먹습니다. ‘재첩전’은 재첩삶은 물과 밀가루를 섞어 반죽을 하고 부추, 당근 등 야채와 섞어 펜에 올린 뒤 재첩살(바로 .. 2023. 1. 15.
한국인의 밥상 :: 115회 옛굴비를 찾아서, ‘영광 법성포’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오늘 밥상의 주인공은 굴비입니다. 밥상 위에 명불허전!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면 굴비는 조기에 귀소금을 해서 말립니다. 조기에 들어 있는 칼슘과 굴비에 들어 있는 칼슘을 비교하면 굴비에 들어 있는 칼슘이 2배 이상 높습니다. 조기의 수분이 빠져나가면서 칼슘이 농축이 되고 천일염에서 얻은 무기질이 첨가되면서 굴비의 무기질 농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굴비구이’는 굴비를 구이용으로 만드는 굴비가 있고 저장용으로 말리는 굴비가 있다고 합니다. 냉장이 좋아지면서 굴비를 바싹 말려 보관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반건조 굴비를 구워 먹는다고 합니다. ‘조기구이찌개’는 조기에 고추장양념을 바른 뒤 숯에서 구워 줍니다. 그리고 냄비에 구운 조기를.. 2023. 1. 15.
한국인의 밥상 114회 :: 뿌리깊은 밥상의 보약, ‘진도무’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새떼처럼 섬이 모여있는 조도군도입니다. 무수확현장을 찾아갑니다.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9월말에 파종해서 3월 초에 수확을 시작한다고 합니다. ‘간재미 회무침’은 무를 깨끗이 씻어 채를 치고 간재미를 손질해서 썹니다. 당근채, 미나리, 무채에 고춧가루, 깨소금, 초고추장과 함께 간재미를 넣고 무칩니다. ‘보리순 무전’은 보리순을 순덩순덩 썰어 무채, 당근채와 반죽을 한 뒤에 펜에 기름을 두르고 부칩니다. 보리순은 원래 홍어애국이나 된장국에 주로 넣습니다. ‘굴무생채(=화초지)’는 당근채, 쪽파, 무채, 굴 등과 함께 고춧가루 양념에 무쳐줍니다. ‘무말랭이 무침’은 무를 다듬어서 깨끗이 씻어서 좀 통통하게 채를 쓴 다음 말립니다.. 2023. 1. 14.
한국인의밥상 113회 :: 아삭아삭 봄맛이 꿀꺽, ‘청도 미나리’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 *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아삭아삭 씹히고 입안 가득 향긋한 향이 퍼집니다. 봄의 맛이라고 할까요? 오늘은 푸른 미나리를 따라 가보겠습니다.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청도는 경상도에서 미나리향이 짙은 지역이라고 합니다. 청도 남서쪽 4개 지역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어서 한재미나리라고도 합니다. 미나리를 밭에서 재배합니다. 밤에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물의 높이를 2~3센티미터로 살짝 지나가게 합니다. 생산량의 80%가 현지에서 소비된다고 합니다. ‘삼겹살 미나리쌈’은 삼겹살을 구워서 생 미나리를 돌돌 말아서 쌈장을 찍어 먹습니다. 아니면 같이 구워서 먹기도 합니다. ‘미나리가오리무침’은 무, 당근을 채썰고, 우렁과 가오리무침을 넣은 뒤에 미나리를 썰어 뜸뿍.. 2023. 1.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