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가을식재료26

한국인의밥상 240회 :: 낙동강은 흐른다 2부. ‘그림움이 품은 맛’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 물길을 따라 삶의 애환이 흐르고, 세월의 맛이 흐릅니다. 강이 들려주는 그 이야기 한 번 들어보시겠습니까? *부산광역시 옛 구포 나루터낙동강 용왕제(구포 별신굿)은 1년 동안의 모든 액운, 액살을 낙동강에 용왕님이 물밀 듯이 깨끗이 씻어서 걷어 가시라는 그런 뜻입니다.양산군 구포 시절부터 한 500년 이상 됐습니다. 여기서 나는 곡식과 모든 걸 중앙으로 실어 나르는 창고의 역할을 했습니다.  *부산광역시 옛 북섬나루터나루터에서 강을 오가던 사람들에게 주막을 하면서 삶은달걀, 어묵, 고래고기, 라면 등과 막걸리를 팔았습니다.‘메기매운탕’은 솥에 무를 나박하게 썰어 넣고 끓이다가 메기를 내장 제거하고 손질해서 넣고 고추장, 된장 양념.. 2024. 10. 23.
한국인의밥상 239회 :: 낙동강이 흐른다 1부, ‘을숙도의 추억’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남한에서 가장 긴 강은 낙동강입니다. 1300리 강을 거슬러 올라가면 또 다른 삶, 언제나 따뜻한 위로가 됐던 우리네 밥상을 만날 수 있습니다.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두 번째 도시 부산에 포구가 있습니다. 대로변와 아파트 사이에 하단포구가 있습니다.을숙도는 강과 바다가 만나는 기수역으로 백합, 재첩 등 많은 생물들이 살고 있습니다.‘재첩무침’은 재첩(=갱조개)을 씻어서 물에 담가 짠 맛을 뺍니다. 그리고 물을 조금만 붓고 끓여서 삶고 체에 받쳐서 육수는 따로 놓고 물에 씻어서 알맹이만 골라 냅니다. 고추장, 다진마늘, 깨 식초 등을 넣고 양념을 만들어 고추채, 배채와 함께 재첩살 넣고 무쳐줍니다.‘재첩국’은.. 2024. 10. 22.
한국인의밥상 238회 :: 작지만 강하다, ‘녹두밥상’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가을 날씨를 반기는 건 사람만이 아닙니다. 땅에서 자라는 모든 것들도 이 계절은 반갑습니다. 녹두로 가을 날씨 속에서 잘 여물어갑니다. 요즘 웰빙 음식으로 인기가 좋아지면서 녹두의 몸값도 높아 졌습니다.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여흘리신안은 우리나라의 녹두 최대 주산지입니다. 옛날에 녹두는 농가마다 다 조금씩은 심어서 명절, 제사에 쓰려고 숙주도 좀 키우고 했습니다. 녹두는 열매마다 익는 속도가 달라서 익은 것만 골라 일일이 따야되기 때문에 수확이 힘듭니다.‘녹두부침개’는 녹두를 바가지에 넣고 손으로 막 비비면서 녹두를 씻습니다. 그리고 3~4시간 정도 물에 불렸다가 물이랑 같이 맷돌로 갈아 채에 걸러 줍니다(반죽을 얼려두었다가 겨.. 2024. 10. 21.
한국인의밥상 237회 :: 살아서 먹을 수 있으니 좋구나, ‘가을 토란’ *글 : KBS 한국인의 밥상 참조.*사진 : KBS 한국인의 밥상 출처.토란을 제사 명절 음식으로 아는 사람이 많습니다. 토란이 우리 밥상에 감자, 고구마보다 먼저 올랐다는 사실, 벼농사보다 먼저였다고도 추측합니다. 가을이 깊어갈수록 맛도 깊어지는 토란이야기입니다.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감홍마을기온이 높고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라는 토란, 전남 곡성이 주산지입니다. 혈관에 지방을 제거하고 성인병, 다이어트에도 좋아 알만한 사람들은 토란을 찾는다고 합니다.‘닭토란국’은 토란을 씻어서 돌에 비벼서 껍질을 깝니다. 토란이 강한 알칼리성이라 맨손으로 까면 손이 따갑습니다. 닭을 손질해서 토막을 내서 솥에 넣고 끓이고 말린 능이 버섯, 절구에 찐 마늘을 넣고 푹 끓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토란을 넣고 .. 2024. 10. 11.
728x90
반응형